한국수자원공사

▶ 195 Ⅱ(Zoom Out) 위클리 리포트 1. 역사 속 물관리 1. 역사 속 물관리 2. 현재의 물관리 3. 미래의 물관리 3) 조선의 물 데이터 관리 : 측우기(測雨器)와 강우량 측정 “ 바람 하나 빗방울 하나까지 상세히 살펴보는 일을 어찌 감히 소홀히 할 수 있겠는가?” ( 一風一雨 何敢放忽)” (「영조실록」, 1770년 5월) < 전통적 측정 척도 > 구 분 환 산 1 분 약 2mm 1 촌 약 3cm 1 척 약 30cm 1 장 약 3m 1 리 약 400m “ 측우기를 설치하여, 비가 온 뒤에는 수령이 친히 비가 내리고 갠 일시와 물 깊이의 척․분․촌의 숫자를 상세히 써서 후일의 전거로 삼게 하소서” (「세종실록」, 1442년 5월) 1. 측우기 등장 이전 강우량 측정  벼농사 중심 농업이 핵심이던 시기��강수량의 파악은 국가 � � � 경제 및 국민 생활과 직결된 중요한 국가 책무로 간주 � �� 삼국시대(기원전)부터 기상관측 기록 존재(삼국사기 등) � � ∙ 기상관측 최초 기록 �� 고구려 안개 기록(��� 34년�� 삼국사기) ∙ 자를 이용한 적설량 측정(고구려���� 77년)� 등정량측정 ∙ 고려 시대 이후�� 초기 단계의 강우량 측정 기록 ��*�강우에 따른 도로 침수 기록(1124년�� 1390년)�등  조선초기는땅에 스며든 깊이를 측정하여강우량기록(우택관측) � �� 기상관측 전문기구(서운관 �� 書雲觀)� 설치 및 강우량 측정·관리 � � ∙ 청주에 한달 만에 비가 내렸으나�� 땅에 스며든 깊이가 � � 수 촌에도 미치지 못함을 근심하는 기록(태조실록�� 1398년)� ∙ 전국 모든 지역에 강우량 기록 명령(세종실록�� 1425년) 2. 측우기의 등장과 강우량 관측망 구축  세종� ��기상재해(가뭄 및 홍수)� 대비를 위한 강우량 측정 개선� � � ∙ 매년 가뭄과 폭우가 거듭되나 정확한 강수량을 알 수 없으니 � � 서운관에 새로운 방법을 찾도록 의뢰(세종 18년�� 1436년) � 구 분 가뭄 기록 홍수 기록 조선 전체 3,464회 688회 세종 代 323회 76회  세자(후일 문종)� ��구리 그릇에 빗물을 담는 방식의 측우기 � � �발명․도입(1442년)� �� 강우량 측정을 지방관의 주요 업무로 부여 � � ∙ 강우량측정정밀화(분 �� 2��� 단위�� 시작․ 종료시간기록 ) ∙ 전국단위관측망구축(총 372개소)� *현 자동기상관측망 515개소 � 구 분 주요 군현 소규모 군현 합 계 개 소 측우기 20 우택관측 352 372

RkJQdWJsaXNoZXIy MjM0MzgwNg==